나이 별칭(别稱)
*120세 : 천수, 상수*
1.천수(天壽)
하늘이 내려준 수명(壽命)
2.상수(上壽)
으뜸가는 수명(壽命)
*100세*
1.기수(期壽) 2.기이(期頥)
3.백수(百壽) 4.상수(上壽)
*期 : 100 *頥 : 턱 이
*99세 : 백수(白壽)*
'百'에서 '一'을 빼면 '白'
(100-1=99)
*91세 : 망백(望百)*
100을 바라본다
*90세 : 졸수(卒壽)*
'卒'의 변체(變體)인 '卆'의
파자(破字) 九,十
*88세 : 미수(米壽)*
'米'의 파자(破字) 八,十,八
*81세 : 반수, 망구*
1.반수(半壽)
'半'의 파자(破字) 八,十,一
2.망구(望九):90을 바라본다
*80세 : 산수(傘壽)*
'傘"의 약자(略字)인 '仐'의
파자(破字) 八,十 •傘(우산 산)
*77세 : 희수(喜壽)*
'喜'의 초서체(草書體)가
七,十,七로 이루어진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
*70세 : 희수, 고희, 종심*
1.희수(稀壽)
70세까지 사는 것은 드물다
*稀 : 통자(通字) 希(희)
(1).드물 희 稀少(희소)
(2).성길 희
(3).적을 희 稀疏(희소)
2.고희(古稀)
두보(杜甫)의 시 '곡강(曲江)'
"人生七十古來稀 "
(인생칠십고래희)
3.종심(從心)
" 從心所欲不踰矩 "
(종심소욕불유구)
하고자 하는 대로
마음이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ㅡ 孔子 ㅡ
*66세 : 미수(美壽)*
'美'를 비스듬히 자르면
六, 十, 六
*62세 : 진갑(進甲)*
회갑(回甲)에서 한(一) 살
나아갔다(進)
* 61세 *
회갑(回甲), 환갑(還甲),
환갑(換甲), 주갑(周甲),
화갑(華甲)
'華'의 파자(破字)十,十,十,十,十,十,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최소공배수(最小公倍數)(60)
*60세 : 이순(耳順)*
(1).비로소 모든 것을 순리
(順理)대로 이해(理解)하였다
(2).모든 말이 귀에
거슬리지 않았다 -孔子 -
☆ 나이 : 옛적의 한국식 나이
2025년 6월 15일 주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