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솥밥/문성해

keyjohn2022.02.18 19:17조회 수 52댓글 8

    • 글자 크기

기껏 싸준 도시락을 남편은 가끔씩 산에다 놓아준다.

산새들이 와서 먹고 너구리가 와서 먹는다는 도시락

애써 싸준 것을 아깝게 왜 버리냐

핀잔을 주다가

내가 차려준 밥상을 손톱만 한 위장 속에 그득 담고

하늘을 나는 새들을 생각한다.

내가 몇 시간이고 불리고 익혀서 해 준 밥이

날갯 죽지 근육이 되고

새끼들 적실 너구리 젖이 된다는 생각이

밥물 처럼 번지는 이 밤

은하수 물결이 잔잔히 고이는
어둠 아래
둥그런 등 맞대고
나누는 한솥밥이 다디 달다.


*옮긴이 노트

어디서든 함께 먹는 이들과의 인연은 예사롭지 않다.

눈길이 섞이고

말들이 섞이며

침방울들도 섞이겠지?


그래서 

간섭하고 궁금하고 귀찮고 그립고. .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8
  • 2022.2.18 20:08 댓글추천 0

    어찌 이리도 마당발 이신지요?

    다른이의 글 옮겨주시어함께 

    감동의 시간 되게해주시니.....


  • 2022.2.18 20:51 댓글추천 0

    한솥밥 뿐이겠소. 된장뚝배기를 비롯

    모든 먹거리가 공용이었지요.

    빨아 먹은 숟가락, 젓가락이 공용 그릇에

    들락날락, 풍덩풍덩! 그래도 탈 없이

    잘 자랐다오. 요즈음은 너무 깔끔 떠는것

    같네요. 좋은 글 gas비가 만만찮은 데---

    Delivery해 주셔서 편안히 즐겨 감상하니

    미안합니다.

    늘 강녕하세요.


  • keyjohn글쓴이
    2022.2.18 21:24 댓글추천 0

    설란님!

    '마당발' 이란 칭찬에 담긴 수고와 간섭과 열린 마음이 보여 감사드립니다.

    '함께 먹는 다는 것'이 

    이리도 아름답고 숭고하게 다가 오는 것을 보면

    글의 힘은 밥심 못지 않은 듯 합니다.


    종우님!

    벌써 우리들의 이런 저런 것들이 섞여버린 까닭에

    루비콘강을 건너버린 거지요?

    제 개스비 걱정해주시는 섬세함이

    쬐끔 감동입니다.

  • keyjohn님께
    2022.2.19 00:52 댓글추천 0

    이 시대에 누가 Ceasar같은 인물이 있어

    Rubicon강을 건너 Veni !  Vidi !  Vici !라

    외칠자가 있다고 그럽니까! 

    우리 형세가 Rubicon강을 건너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뭐랄까? 우리말로 "이판사판"?

    아니면 "낙장불입"? 일도양단을 못한것

    같아요. 좀더 기다려 보십시다.

    늘 강녕하시기 바랍니다^^^


  • 이한기님께
    2022.2.19 07:08 댓글추천 0

    que sera sera 인가요.

    저의 현재 moto 입니다. ㅎㅎ

  • keyjohn님께
    2022.2.19 07:13 댓글추천 0

    그래서 pen is mightier than a sword  라고 하는가 봅니다.

    옛날에 밥 제대로 못먹고살 때도 글은 계속 배웠거든요.

  • 2022.2.19 07:04 댓글추천 0

    여기서도 반대양상의 표현이 잡힙니다

    둥그런 등 맞대었을 때는 보통 싸우고 난 직후인대 한 솥밥이 달다니요?

    혹시 새디스틱한 사람들의 표현같기도 하네요. ㅎ


  • 강창오님께
    keyjohn글쓴이
    2022.2.19 08:54 댓글추천 0

    자세히 살펴보니 그렇네요.

    어깨를 대고 함께 먹는다면 단밥 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

    등을 맞대고는 행동과 표현이 어긋나는 것 같네요.


    죽일 듯 싸우고 몸을 섞는 것과 같은 심리적 배경?

    아무튼 예리 하시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 제65회 대학문학상 시 부문 심사평 - 착시와 패턴 심사평 포함 관리자 2023.12.04 2
117 늙어가는 모든 존재는 모두 비가 샌다 송원 2023.12.03 5
116 바보같은 삶- 장기려 박사님의 삶 관리자 2023.12.03 3
115 착시와 패턴 -제65회 대학문학상 시 부문 가작4 관리자 2023.12.03 35
114 ‘아낌없이 주는 나무’ 뒤에 숨은 기가 막히고 속이 뚫리는 156편의 시+그림 관리자 2023.12.02 4
113 이승하 시인의 ‘내가 읽은 이 시를’(333) 어느 어머니의 이야기―김일태의 「만다꼬」 관리자 2023.12.02 5
112 명장(名將) 일별(一瞥)(2) 이한기 2023.12.02 45
111 산행(山行) 이한기 2023.12.01 54
110 [아메리카 NOW] 여야 정쟁 사라진 로잘린 카터 여사 장례식을 보면서1 관리자 2023.11.30 14
109 순수(純粹)의 전조(前兆) 이한기 2023.11.22 96
108 검(劍)의 정신(精神) 이한기 2023.11.22 59
107 다산(茶山) 정약용의 노년유정심서(老年有情心書) 관리자 2023.11.21 34
106 타령(打令) 이한기 2023.11.18 41
105 우주(宇宙)(Universe) 이한기 2023.11.18 50
104 평양아바이순대 33호점 오픈기념 예배-마영애 탈북자인권협회 임원 관리자 2023.11.15 19
103 나태주 시인님의 시화 감상해 보세요-장 붕익 선생님께서 단체 카톡방에 올려 주셨습니다1 관리자 2023.11.14 33
102 Anything That's Part of You 이한기 2023.11.11 87
101 눈풀꽃 / Louise Elizabeth Gluck 이한기 2023.11.07 58
100 춘산야월(春山夜月) 이한기 2023.10.28 43
99 협객(俠客) 이한기 2023.10.26 5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