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승만 전기, 독후감 심사평을 마치며

이한기2025.08.02 08:06조회 수 54추천 수 1댓글 2

    • 글자 크기

이승만 전기, 독후감

심사평을 마치며

 

 올해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탄신 15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이승만 건국

대통령 기념사업회

애틀랜타지회에서는

‘이승만 전기, 독후감

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애틀랜타 한인회를 비롯한

원로목사회, 장교동우회 등

10여 개 단체가 함께 힘을

모아 주었기에 심사위원들은

큰 기대 속에 심사에

임했습니다.

아쉽게도 응모작은 10여

편에 머물러 기대했던

것만큼 응모 열기가 높지

않았습니다.

이 박사의 서적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됩니다.

 

지난해 건국 전쟁 영화

감상문 공모 때 총영사관의

무관심을 경험했던 터라,

올해는 애초부터 그들의

참여를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더욱 안타까웠던 사실은,

독실한 기독교 장로였던

이승만 대통령임에도

불구하고, 애틀랜타 지역

한인교회들 대다수가

본 행사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일부

한인교회에서는

특정 정치적 시각을 의식해,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언급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제가 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미국 동남부

최대 규모의

애틀랜타 한국학교에서도,

다양한 한국 문화와

예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건국 대통령의

업적과 역사적 의미를

깊이 있게 논의하자는

제안은 아직 한 번도

다뤄진 적이 없습니다,

30~40대 학부모 중

일부가 과거 한국 교육

환경의 영향으로,

자녀가 한국학교에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배우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현실이

못내 아쉽게 느껴집니다.

 

이번 독후감 공모전을

통해 한가지 확실히

느낀 것은, 젊은 세대가

이승만 대통령을 바라보는

시각이 이전보다는

달라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 참가자는 반민특위 해체,

제주 4.3 사건,

3.15 부정선거에 대해

극심한 비판적 시선을

보인 반면, <독립정신>과

<Japan Inside Out>을

통해 이승만 박사로부터

오늘을 살아가는 지혜와

용기를 얻었다며

이승만 박사의

내면적 통찰에 감탄했습니다.

이는 언론의 왜곡과

역사교육의 편향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볼만합니다.

 

이승만 박사의 대표

저서로는 한성감옥에서

집필된

<독립정신>과 <채역집>,

프린스턴 대학 박사 논문,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미국 망명 중 집필한

<Japan Inside Out> 등

약 5~6편이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주로

<독립정신>,

<Japan Inside Out>

혹은 이 두 권을 읽고

진솔한 감상을

들려주었습니다,

 

최우수상 수상자 장미님은

<독립정신>을 읽으며,

이승만 대통령이 순수한

한글로 국민을 계몽하고자

했던 의지와 선진국을

본받아 세계에 기여 하는

나라가 되고자 한 열망에

깊이 감동하였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오랫동안

중국에 의존하고

서구 문명을 소홀히 여겼던

과거를 비판하며, 앞으로는

정의로운 국가들과

협력하여 세계에

이바지하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또 다른 최우수상 수상자인

김은주 님은

<Japan Inside Out>에서,

이승만 박사가 세계정세를

꿰뚫으며 일본의 무력

침공을 경고한 통찰력에

크게 감탄했습니다.

“지금 우리의 곁에 이승만

같은 위인은 얼마나

큰 힘이 될까”라는 소회

역시, 불안한

현실에 울림을 주었습니다.

 

우수상 수상자

최 요안나님은,

<Japan Inside Out>에서

일본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어떤 약속도 하지 말고,

받아내서도 안 된다”는

이승만 박사의 경고에

주목했습니다.

지도자의 신앙과 업적,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는

선견지명이 오늘날

한국에서도 꾸준히

조명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하였습니다.

 

장려상 수상자 박영돈님은

<독립정신>을 읽고, 미국

대통령 45인을 연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승만 대통령의 다면적

탁월함과 애국심,

지도력을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과 견줄 만큼

높이 평가해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대상은 김성혜님이

<프란체스카의 난중일기>를

통해, 6·25 전쟁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고뇌와

지도력을 생생히 그려낸

점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담백한 일기체로 기록된

프란체스카의 글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애틋한

국민 사랑과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열정이 드러났으며,

이 작품이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처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길 바란다는

참신한 시각까지

덧붙여졌습니다,

비록 본 저서가 이승만

대통령 저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대상 수상에 대한

이견이 있었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진정성과 인간적

면모를 생생하게 그려낸

응모자의 필력에 심사위원

모두가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가장 어린 참가자인 11살

박 이룸 군은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독립정신>을

힘들게 읽어 내고,

대한민국 독립의 의미와

역사적 배경을 처음 알게

되었다고 고백했습니다.

그는 이승만 대통령이

국권을 빼앗긴 어려운

 시기에도 국민을 깨우치며

헌신했던 점에 큰 감명을

표한다고 했고, 자신의

뿌리인 대한민국과 현재

사는 미국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을

했습니다.

이러한 어린 학생의

진솔한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져 특별상을 시상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응모작 수는 많지

않았지만, 모든 참가자가

이승만 대통령의

지도력과 소명 의식,

자유민주주의 신념,

애국애족 정신을 깊이

공감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부 응모자는 학생 시절

이런 위인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였습니다.

 

 저 역시, 응모자들의

글을 읽으며

이승만 박사가 망명,

해방정국,

6·25 전란 등 격동의

역사 한복판에서도,

자신의 신념과 신앙을

끝까지 지키며 살아온

삶을 새삼 되새기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미래 세대가

<독립정신>을 비롯한

이승만 대통령의 저서들을

각 가정의 책장에 소중히

간직하며, 올바른

역사의식과 자긍심을

키워 나가길 소망합니다.

심사위원 7인을 대표하여

이것으로 심사평을

마칩니다.

 

2025년 7월 27일

심사위원장, 아해 김태형

 

 

 

 

 

    • 글자 크기
백일홍처럼 오래오래 - 이 운진- (by 관리자) 조선왕(朝鮮王)의 본명(本名) (by 이한기)

댓글 달기

댓글 2
  • 2025.8.2 09:42 댓글추천 0

    이승만 전 대통령의 전기에 대한 독후감의 심사평을 잘 읽었습니다.

     

     

    아무래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역사적 공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는데다가

    정치적, 이념적 평가에 따라 사람마다 애증이 교차하는 부분이 있는 듯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승만 전 대통령이 사상과 신념을 되돌아 보려는 노력은

    어느정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국제통상을 통한 부의 축척을 옹호하고 국민의 자유를 무엇보다도 중요시하였으며

    국민 개개인의 도덕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 전 대통령이 젊은 시절 국제정세를 분석하여 대한제국이 독립국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한 통찰력은 지금 보아도 경이롭습니다.

     

    비록 그러한 사상과 신념이 본인의 정치적 욕망으로 훼손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부정적인 면은 도려내고 정신적 가치의 핵심에 천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됩니다.

     

    예컨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사회주의)는 서로 적대적인 이념입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장점과 사회주의 사상의 장점을

    받아들인 후 이를 융합하여 복지적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유럽북구(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의 모습을 보면 이념은 그 자체가 절대선이 아니라 그 장점을 받아들여 조화롭게

    활용한다면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승만 대통령의 전기 읽기도 그의 공과를 엄밀히 평가하되, 그의 독립사상이

    지금의 현실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한기글쓴이
    2025.8.2 11:14 댓글추천 0

    윤 선생님,

    찜통같은 복염 중에

    평안하신지요?

    정성어리고 감명을 주는

    청량제 같은 댓글을 올려

    주심에 감사합니다.

    늘 평안하시기를 빕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이승만 전기, 독후감 심사평을 마치며2 이한기 2025.08.02 54
1412 조선왕(朝鮮王)의 본명(本名) 이한기 2025.08.01 66
1411 대치십상(對治十常) 이한기 2025.08.01 35
1410 [돈과 관세] 한국, 미국에 3천500억달러 투자… 관세 25%→15% 합의 관리자 2025.07.30 49
1409 돈복 넘치는 팔자인 사람들의 공통점 관리자 2025.07.30 40
1408 자식이 잘될 수밖에 없는 부모의 5가지 공통점 관리자 2025.07.30 60
1407 진정한 도(道) 이한기 2025.07.30 37
1406 LTG. Robert Franklin Foley(US Army) 중장(☆☆☆) 로버트 프랭클린 폴리 (미 육군) 이한기 2025.07.30 64
1405 부자가 되고 싶다면 절대 말하면 안 되는 4가지 관리자 2025.07.28 30
1404 잃고 얻은 것 관리자 2025.07.28 41
1403 [이상운 “시”] 무작정 떠나는 거야 관리자 2025.07.28 19
1402 부모가 자식에게 절대로 하면 안 되는 말 5가지 관리자 2025.07.28 39
1401 Feels So Good 재즈 거장 척 맨지오니, 향년 84세로 영면. 관리자 2025.07.27 60
1400 Happy Runners Marathon Club Meeting on 072725 관리자 2025.07.27 24
1399 38도라니 이럴 수가 이혜우 관리자 2025.07.27 27
1398 멀리 있기 유안진 관리자 2025.07.27 42
1397 기억해야 할 여름 백 원기 관리자 2025.07.27 23
1396 하늘이 죄(罪)를 지으면--- 이한기 2025.07.27 48
1395 선구자(先驅者) 이한기 2025.07.26 47
1394 무제(無題) 이한기 2025.07.26 23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7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