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솔개의 인생...

정희숙2018.01.24 19:34조회 수 43댓글 0

    • 글자 크기

- 변화는 고통을 참아내야 이루어진다.. -

솔개는 약 70년의 수명을 누릴 수 있습니다.

133C393A4E71123F1B63AE


솔개가 70년의 수명을 누리려면,

약 40세가 되었을 때,

매우 고통스럽고 중요한 결심을 해야만 합니다.

163984374E7135063303E6

솔개는 약 40세가 되면 발톱이 노화되어

사냥감을 효과적으로 잡아 챌 수 없게 됩니다.


부리도 길게 자라고 구부러져

가슴에 닿을 정도가 되고,

깃털은 짙고 두껍게 자라

날개가 매우 무겁게 되어,

하늘로 날아오르기가 나날이 힘들게 됩니다.

167F603C4E71331A305106

.

.

.

이 즈음이 되면.. 
솔개는 두 가지 선택만이 있을 뿐입니다.

그대로 죽을 날을 기다리던가.. 
약 반년에 걸칠 매우 고통스러운 갱생과정을 수행하는 것..

1173A7344E7111E21FEC5F

갱생과정을 선택한 솔개는 
먼저 산 높은 정상 부근으로 높이 날아올라


그곳에 둥지를 짓고 머물며..

고통스런 수행을 시작합니다.

123CAC3A4E7113541B3502

먼저 부리로 바위를 쪼아 부리가 깨지고 빠지게 만듭니다.


그러면 서서히..

새로운 부리가 돋아나게 됩니다.

그런 후,

새로 돋은 부리로 발톱을 하나하나 뽑아냅니다.


새로 발톱이 돋아나게 되면,
이번에는 날개의 깃털을 하나하나 뽑아냅니다.

193CB73A4E7116941C5799

.

.

.

이렇게.. 
반년이 지나 새 깃털이 돋아난 솔개는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하게 됩니다..

157F3E3C4E71339C2F6FD0

그리고는 다시 힘차게 하늘로 날아올라
30년의 수명을 더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143858374E7116C21CC961

솔개..

참 멋진 인생을 사는 것 같습니다...

12735A344E71184521CFE8

--------------------------------------------------------------------

우리의 인생.. 솔개와 다를바가 없는 것 같습니다...


변화가 없는 삶을 추구하는 것..

고통이 없는 삶을 추구하는 것..

어쩌면 그 인생은

고인 물 웅덩이와 같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날마다의 삶에 어떤 굴곡도 없이..

같은 생각, 같은 일상이 반복되기를 바란다면.. 
삶을 선택하며 사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삶을 쫒아가게 되는 거겠지요..

변화도, 고통도..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인생에 위기가 찾아온다면, 
그것을 기회로 여기고 붙잡았으면 좋겠습니다.

낙심이 되더라도, 좌절하더라도, 실수가 반복되더라도..

그래서 고통스러움이 나를 짓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포기하는 선택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위기는 단지 내 안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이고,

고통은 단지 그것을 이겨낼 내 안의 또 다른 힘을 꺼낼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이니..

솔개처럼 용기있게 받아들였으면 좋겠습니다..

솔게에 대하여 한가지 발견한 사실이 있습니다

미국 사우수케롤라이나 어디엔가  가면

솔개들이 갱생의 기간동안 거처하는 곳이 있답니다

어느박사님의 연구한바에 의하면

그 솔개들이 부리가 빠지고 발톱이 빠지는 기간 굶는가 하면 그렇지 않답니다

먼저 변화된 솔개들이 먹이를 물어다가 그들위에 떨어뜨려 주고가면 그 먹이를 먹으며

고난기간을 이겨낸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5 시창작을 위한 일곱가지 방법4 배형준 2022.01.23 46
514 신입회원 강이슬4 강이슬 2019.01.18 125
513 새해 문안 인사가 늦었습니다 .4 정희숙 2018.01.22 45
512 위안과 치유로서의 문학3 강화식 2022.08.05 45
511 나태주 시인의 강의 자료3 강화식 2022.08.04 177
510 비가 내리면/정헌재3 keyjohn 2022.04.16 81
509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도종환3 배형준 2018.01.28 334
508 회원보고 권한이 없다고 하는 경우는 무엇인가?3 Jackie 2018.01.12 106
507 [문학강좌] 구명숙 교수 특강3 hurtfree 2017.06.12 92
506 시 쓰기2 Wslee 2024.02.11 139
505 공존의 이유 시:조병화 글:김현욱2 배형준 2022.10.21 32
504 애틀랜타 문학회 10월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10.10 65
503 8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08.08 45
502 유성호 평론가(한양대 교수) PPT2 강화식 2022.08.04 50
501 LA 미주한국문인협회 웹사이트에 올린 여름문학 축제 포스터2 강화식 2022.08.04 58
500 문정영 시인 초청 문학특강2 강화식 2022.06.06 49
499 3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03.14 33
498 문학평론가 유성호( 문학축제 강사) 영상 특강2 keyjohn 2022.02.26 47
497 시적장치의 삼각도2 배형준 2022.01.23 52
496 2021년 2월 모임 기록2 keyjohn 2021.02.15 71
이전 1 2 3 4 5 6 7 8 9 10... 2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