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기정
- 중앙대 교육학과 졸업
- 2000년 도미
- 둘루스 거주
- 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홍등

keyjohn2020.08.29 18:31조회 수 69댓글 9

    • 글자 크기
      백열등 불빛을 따라가면 앉은뱅이 책상에 앉아 독고탁이랑 삼중당 문고를 읽으며 꿈과 현실 사이에서 허우적대는 소년이 보이고, 가스등 불빛을 따라가면 '격정적으로 사는 것 외에는 이 끔찍한 생을 견디는 방법이 없다' 를 일기에 적고 열나흘 달을 바라보는 뮌헨의 전혜린이 보인다.
촛불을 따라가면 '길손처럼 찾아 온 밤'을 노래하는 기타를 안은 정태춘이 보이고, 홍등 불빛을 따라가면 19살 나이에 기우는 집안을 세우려 부잣집 넷째 첩으로 들어 가 구중궁궐 처소를 지키는 송련이 보인다.

    영화 '홍등'에서 송련이 대학을 중퇴하고 돈에 팔려간 부잣집에는 만고풍상을 겪은 초로의 첫째부인,  딸을 낳은 열등감으로 아들을 낳은 셋째부인에게 적개심을 품고 사는 둘째부인, 가수이자 화려한 외모의 셋째부인이 처소앞에 홍등이 켜지기만을 고대하며 살고 있다. 자기 처소에 홍등이 켜진다는 것은 그날밤 남편이 그 처소에서 기거한다는 의미이자 아들을 잉태할 희망을 품어보는 기회이기도 했다.
당연한 결과로 홍등을 차지하기 위한  부인들의 암투는 집을 검과 화살이 보이지 않는 전쟁터로 만들었다.
송련은 어느날 우연히 셋째부인이 주치의와 연인관계라는 비밀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아이 아니 아들을 낳는 것만이 이 집의 암투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안 송련은 거짓으로 임신한 것처럼 행세한다.
그러나 자신에게 적개심을 안고 있는 몸종에 의해 가짜 임신이 탄로 나고 홍등이 밀봉되는 벌을 받게 되며, 이는 이집에서 무의미한 존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몸종의 밀고에 분개한 송련은 몸종에게 눈밭을 견디는 벌을 내리는데 벌을 받다가 몸종이 죽게 된다.
몸종의 죽음과 자신의 처지에 낙심한 송련은 술에 취해 셋째부인의 통정사실을 공포하고 그 사실을 안 남편은 셋째부인을 옥상 골방에 가두게 된다.
이 골방은 부정을 저지른 부인들이 죽음을 당하는 장소라는 비밀을 알게 된 송련은 셋째부인의 시체를 발견하고 주인을 살인자라 부르며 이 집안의 폐습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여전사로 변해 간다.
춘하추동이 흐르고 이 집에는 결혼식이 열리게 된다.
가마에서 내리는 다섯째 부인은 기묘한 행색과 표정으로 처소를 거니는 송련을 보게 되고, '미친 넷째 부인이라'는 몸종의 설명을 듣게 된다.
   행인의 발길이 뜸한 천안문 뒷켠 나무색과 홍등의 주황색 그리고 허리춤 까지 내려오는 송련의 땋은 머리와 촛점없는 눈동자가 오버랩되며 영화 크레딧이 올라온다.
영화가 끝나도 죽은 셋째부인의 노래소리가 홍콩 할메귀신 곡하는 소리처럼 환청되며, 눈에서 끝난 영화가 시차를 두고 귀에서 끝나는 기이한 경험을 하게 된다. 

     '관념을 지배하는 것은  물질이라'는 마르크스의 설파는 송련에게는 옳다. 청춘의 미학을 구가하고 꿈과 희망의 하모니를 향유하기도 전에 물질의 희생양이 되어야 했으니까.
우리는 사랑과 우정이 물질 앞에서 자주 배신의 열차에 탑승하는지를 보지 않았는가?
그래도 유심론을 유물론의 우위에 두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문명과 교육의 혜택을 받은 자라는 자존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몽상가일까?


*글쓴이 노트
손님이 뜸한 간간히 영화  '홍등'을 봤다.
주인공들 감정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도 흥미롭고, 장면마다 미장센이 아름답다.
팝콘대신 견과류를 씹으며 
극장 기분도 내봤다.


   
    • 글자 크기
Jekyll Island 알러지

댓글 달기

댓글 9
  • 전혜린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를 중학교 2학년 때 이불 속에서

    죄인 같이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기억이 얼마나 충격적이었는지 지금도

    줄거리는 생각이 나지 않고, 작가를 많이 좋아했지만 고통스런 기억도 한 부분 있어요..

    결국 전혜린이 자살하고 방학 때 책을 좋아하는 친구와 

    경기도 어딘가에 그녀의 묘를 찾아 봤지만

    못찾고 돌아왔어요. 지금이야 잘 해놨지만 그 때는........

    사춘기 소녀에겐 버거운 얘기 였으니까요.

    임샘은 묘한 기술이 있습니다. 

    사람의 감성을 끌어내는.....

    과거를 휘젓고 다니게 해줘서 감사해요.

  • 강화식님께
    2020년대를 살고 있는 저에게는 무척 황당한 스토리로 확 다가오네요. 저의 할머니와 어머님의 세대도 다르지 않았는데 먼먼 아주 먼 옛날이야기처럼 들려요. 요즘은 반대현상이 더 많아지는 것같아요. 할머니 핸드백을 들고 기다리는 할아버지의 모습이 불쌍하기도... 젊고 튼튼한 몸집의 여성은 빈 손으로 걸어가는데 걷기조차 불편해 보이는 남성이 양손에 버거운 짐을 들고 따라가는 모습도 애처로와요.  
  • 이경화님께
    keyjohn글쓴이
    2020.8.30 11:35 댓글추천 0비추천 0

    시대적 배경이 1200년대 중국이라 하네요.가부장적 봉건시대라고도 하구요.

    많은 이들이 젠더 이슈를 다루어서 굳이 나까지 언급은 회피했고, 가진자와 못가진자의 입장에서 몇마디 더했습니다.

    남과 녀는 대립보다 동행의 관계로 푸는 것이 순리적이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영화속 남자의 운명도 결코 순탄하거나 행복으로 일관되게 설명할 수는 없을 듯해요.

    네여자 사이에서 얼마나 고단한 일상을 보낼지는....악몽같네요. 나를 그자리에 대입해보니.

      


  • 강화식님께
    keyjohn글쓴이
    2020.8.30 12:28 댓글추천 0비추천 0

    *화식님에 댓글


    그녀의 천재성에 동경과 좌절을 거듭하던 때가 있었지요.


    달병(Mondkrankheit)

    오늘 내가 종일 이상스럽고 괴로웠던 이유를 지금에야 알았다. 마당에 나가보니 열 나흘 달이 차 있었다. 고고하다. 만월에 내게 오는 달병.

    그녀의 일기를 읽고 보름날 옥상위를 서성이던 기억도 새롭네요.


    비범함을 동경하고 스스로의 평범에  좌절하는 습성이 문신처럼 자의식속에 잠재하고 있나봅니다.

    중학교 백일장에서 절친이 '사우'友'라는 제목의 글로 입선을 했습니다.

    내가 글속의 주인공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우'라는 제목에 무너지고 좌절했던 기억.


    이후 기형도의 '질투는 나의 힘'을 읽고 내 감정의 보편성에 다소 위로받은 적도 있고...

    횡설이와 수설이 데리고 이만 총총.

  • keyjohn님께

    임시인.

    1200년대의 중국 시대상을 엿볼수 있는 소설이구려.

    언제 기회되면 꼭 영화를 찾아 보리다.

  • 임시인이 본 '홍등'은 중국의 공리가 출연한 장예모감독의 작품이지요 

    다시보고싶은 영화여서 얼른 VHS 테이프를 찾아보니 미국 오면서 많은 영화테이프를 

    영화평론가인  젊은 여교수에게 그리많은 것을 싸주던 남편이 다시 밉상으로 떠올르네요 

    장예모감독의 첫작품 공리주연의 '붉은 수수밭'이 있어 ( 1987년 베르린 영화제 그랑뿌리 작품)

    먼지털어 놨어요  영화 한편 보는 것도 에너지가 

    달려서 얼른 엄두가 나지 않지만 컨디션 좋은 날 볼까합니다 .

    전혜린 전채린 자매의 팬이였었죠 전채린은 하명중 감독 의 부인? 였고요 

    옛날 생각이 납니다 ..

     

  • 왕자님께
    keyjohn글쓴이
    2020.8.31 15:27 댓글추천 0비추천 0

    그렇군요.

    걸작을 많이 배출한 감독이고 배우군요.

    전혜린 여동생이 영화 감독과 결혼했구나...


    기운내서 영화보시고

    소감도 기대하겠습니다.

  • 중국은 모옌의 "붉은 수수밭" 으로 첫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품이죠.

    일본도 2명이나 상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국은 아직 한 명도 없습니다.

    상이라는 것은 실력으로 평가 받아야 하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홍보도 필요한 시대가 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더불어 번역을 잘 하는 인재도 있어야 하고요.

    한국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그 날까지 

    열심히 관심도 갖고 글도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 2021년 7월 24일 중앙일보에 올린 글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62 발자국7 2021.02.26 61
161 공복2 2021.02.11 82
160 새해에는3 2021.01.04 229
159 면 도4 2020.12.21 50
158 김기덕을 위한 오마주3 2020.12.11 53
157 추석달4 2020.10.01 45
156 가을에게 2020.09.21 45
155 Jekyll Island4 2020.09.17 2278
홍등9 2020.08.29 69
153 알러지7 2020.08.26 69
152 Deep4 2020.08.20 64
151 부대찌게2 2020.06.16 48
150 아비의 이름으로2 2020.06.09 42
149 나를 사랑하지 않는 그대2 2020.06.08 41
148 불행한 시절의 행복7 2020.06.05 68
147 아! 나의 형5 2020.05.05 73
146 반 나르시즘3 2020.04.19 73
145 요즈음 인생공부3 2020.04.10 63
144 그래도 긍정적으로2 2020.03.29 47
143 누가 울어3 2020.03.13 5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