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성수
- 시인
- 1982년 도미
- 월간 한비 문학 신인상 수상
- 애틀랜타 문학회 전 회장

7 월을 다시 맞은 어느 늙은이

석정헌2021.07.01 11:02조회 수 38댓글 3

    • 글자 크기


     7 월을 다시 맞은 어느 늙은이


                  석정헌


있으면서 없는 것 같은

한해

반을 뭉텅 떼어버린

7 월의 첫날

얕은 구름 섞인 하늘은

간간이 뿌린 빗방울에

어제의 뜨거움을 잊고

숲은 푸르다못해 검다


무심코 쳐다본 거울속

주름진 얼굴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팽팽한 간격속의 표정

굽은 허리의 칠순이 훌쩍 지난

강단조차 낡아가는 늙은이

어슬프게 살아온 후회에

내면마져 횡해져

깜짝놀라 휘청 거렸고

이제야 겨우 알게 된 날에

뒷그림자 앞세우고

그 뒤에 숨는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3
  • '반을 뭉텅 떼어버린'듯한 

    지난 6개월에 대한 상실감에 

    푸른 숲이 검게 보이는 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기원을 찾기는 어렵지만, 우리들은 '세월의 흐름'을 혜택보다는 그 반대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을 봅니다.

    살아가야 할 날이 줄어드는 것에서 비롯된, 다소 염세적 세계관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 말은 장수가 하나의 은총이라는 논리도 성립이 되네요.


    새삼 루소의 말을 새겨보며 성수 선배님의 '7 월을 다시 맞은 어느 늙은이'에 대한 변을 갈음합니다.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나이가 많은 사람이 아니고, 많은 경험을 한 사람이다.'

    그런 의미에서 개인적으로 틈만 나면 원근을 가리지 않고 발발거리며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배우자를 만나 다행이다 싶습니다.


    *'뒷그림자 앞세우고

    그 뒤에 숨는다'라는 표현이 오래 마음에 남네요.

  • "어설프게 살아온 후회"에

    누구도 자유스럽지 못할것 같습니다.

    "어제의 뜨거움을 잊고"

    아름다운 이 세상을 훨훨 즐겨 볼까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748 나는2 2015.09.14 10
747 나는7 2022.01.12 85
746 나는 그렇게 살란다 2016.03.02 111
745 나는 무엇인가 2015.07.26 20
744 나락 2018.11.26 27
743 나를 위한 세월은 없다 2017.09.29 18
742 나에게 다시 새해가 올까9 2022.01.11 34
741 나의 시1 2018.11.15 31
740 나의 조국 2016.10.12 36
739 낙엽 2017.09.19 21
738 낙엽 2015.10.21 9
737 낙엽 2019.11.27 19
736 낙엽 때문에 2018.11.10 30
735 낙엽 떨어지는 길위에서 2016.09.29 29
734 낙엽 함께 떠난 님 2017.09.20 37
733 낙엽따라 2023.10.09 3
732 낚시 1 2015.07.06 9
731 낚시 2 2015.07.06 4
730 낡은 의자 2015.03.25 5
729 낡은 조각배 2018.01.07 27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13 14... 4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