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기정
- 중앙대 교육학과 졸업
- 2000년 도미
- 둘루스 거주
- 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불편한 평화

keyjohn2022.03.22 07:20조회 수 43댓글 5

    • 글자 크기

아내는 

미역에 참기름을 비벼대며 

초록 평화를 끓이고,

나는 

돋보기 너머

인터넷 전장을 기웃거리며

바다 건너 불 구경을 한다.


전설같던 2차 대전.

그 때 보다 더 많다는 피난민 소식에,

손 보지 못한 캐리어 바퀴 걱정이 

다큐멘타리로 다가 온다.


미역줄기가 포로 처럼

목구멍 전선에서 고전을 하고,

하얀 밥알이 백기를 든 병사처럼

미역 아래 깔리는 아침.


건재하는 내 평화를

위협하지 않는 먼 전장에 안도하고,

그 평화를 즐기지 못하는 

어줍잖은 내 소시민 의식이 마땅치 않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5
  • 불편한 평화!?

    '호강豪强에 겨워(받혀) 

    요강溺釭에 ×싼다.'

    평화는 무조건 좋은 것!!!

    어우렁 더우렁 누리세요.

    즐감!!!   까칠이 퇴장!!!

    늘 강녕하시기 바랍니다^^^


  • keyjohn글쓴이
    2022.3.22 12:35 댓글추천 0비추천 0

    비교적 평화로우면 호강인거죠?

    호강-요강 라임에 웃고 갑니다.ㅎ




  • 미역국 요리가 '끓이는 초록 평화'로, 기발한 발상의 표현이네요.

    근데 여기다 초록 평화를 Green peace (국제 자연보호 단체)로 바꿔 보니 평화의 의미가 한 단계 더 오르는 듯 합니다. 세상을 다 짊어질순 없죠. 산 사람은 살아야 하고...

  • keyjohn글쓴이
    2022.3.24 16:15 댓글추천 0비추천 0

    불린 미역색이 초록이어서 그리 표현한 건데

    혜안 독자의 감상 평으로 글이  품격의 옷을 입었네요 ㅎㅎ


    '산 사람은 살아야'에 격한 공감을 드립니다.

    생사 문제는 사실 선택의 범주를 벗어나는 문제라 절박한 심정이 되네요.





  • 저도 우크라이나와 소련의 전쟁 소식에 마음이 아파요. 만일 내가 지금 그들의 입장이라고 대입을 시켜보면 끔직하네요. 소수의 잔머리들이 죄없는 다수의 시민들을 생죽음으로 몰아가네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62 공복2 2021.02.11 83
161 공항 별곡2 2018.10.29 73
160 굼벵이4 2016.10.14 67
159 굿나잇2 2018.09.18 64
158 귀인1 2018.08.25 431
157 그녀의 안테나3 2021.05.06 114
156 그래도 긍정적으로2 2020.03.29 47
155 극복6 2016.04.04 61
154 김기덕을 위한 오마주3 2020.12.11 54
153 나는 에르메스의 장인 2020.02.05 87
152 나를 사랑하지 않는 그대2 2020.06.08 42
151 나의 시네마 천국5 2020.02.12 89
150 남쪽으로 가는 기차11 2021.12.29 60
149 낮잠9 2022.04.10 84
148 내리사랑1 2017.12.16 38
147 내일은 내일4 2016.05.12 63
146 냄새4 2017.03.30 55
145 노스탤지어2 2017.04.29 3612
144 노화 2016.04.15 53
143 누가 울어3 2020.03.13 5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