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후회(後悔)(1)

이한기2023.09.29 17:45조회 수 68댓글 0

    • 글자 크기

                       후회(後悔)(1)

                                              淸風軒      

 

빛과 어둠의 궤적(軌跡)인 세월이

한 해의 허리를 반(半)으로 접었다

늘 하듯이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본다

 

일상의 소소한 기쁨이

어디서 오는지 그냥 지나친다

아둔한 자는 지나고 나서야 알았다

어느 누군가의 사랑과 헌신임을

 

우리는 총(銃)알을 모른다

총구(銃口)를 떠난 총알이

인생의 여정이라는 것 조차

 

햇빛, 달빛, 별빛의 무늬인

인생 여정이 휙 지나고 나서야

아차하며 무릎을 친다

 

후회(後悔)없는 인생이 어디 있으랴

우리는 태초에 그렇게 지음받은

만유(萬有)가운데 한 티끌이 아니던가

 

<글쓴이 Note> 

옛 사람들은 하늘의 삼광(三光)

(햇빛, 달빛, 별빛)이 골고루 잘

비칠 때 세상이 평안하다고 믿었다

해(日), 달(月), 별(星)은 천문(天文),

산천초목(山川草木)은 지문(地文),

시(詩), 글, 예악(禮樂)은 인문(人文)

이다. 문(文)은 도(道)를 싣는

그릇이다. 인문이 그 도를 얻으면

해, 달, 별이 순조롭게 행하고 만물이

골고루 잘 다스려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삼광은 이 우주의

질서이자 인간의 희망이다.

인문이 도를 얻지 못하여 삼광이

순조롭지 못하기에 후회를 하는

것인지도---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6월 30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56 안아 주어야지 2024.04.12 105
155 눈속의 풋보리 2023.09.21 106
154 상족암(床足巖)의 발자국 2023.11.03 106
153 삼인삼색(三人三色) 2024.02.15 106
152 만우절萬愚節 2024.04.01 106
151 혜풍惠風 2024.04.07 106
150 5월의 노오란 장미꽃 2024.05.24 106
149 주현절(主顯節) 2024.01.06 107
148 개나리꽃 사랑 2024.03.08 107
147 개머리 추억(追憶) - 단상(斷想) - 2024.01.04 108
146 임을 사랑하시나요? 2024.02.07 108
145 바람이 세차게 부는 날엔 2024.02.13 108
144 영화 '건국전쟁' 2024.04.01 108
143 어디로 흘러가는가! 2024.05.20 108
142 돌려라! 네 바퀴 2023.11.06 109
141 붕우유신(朋友有信)의 표상(表象) 2023.12.03 109
140 상춘곡賞春曲 2024.04.06 109
139 꿈(夢) -단상斷想 - 2024.02.16 109
138 불두화佛頭花 2024.03.30 109
137 별빛 타고 2024.05.23 109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