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추포가(秋浦歌)/이백(李白)

이한기2023.10.13 11:01조회 수 53댓글 0

    • 글자 크기

             추포가(秋浦歌)

 

맑은 물엔 하이얀 달 뜨고

(綠水淨素月 녹수정소월)

 

달빛 휘저어 백로 나는 밤

(月明白鷺飛 월명백로비)

 

사나이는 듣네, 마름 따는 아가씨들이

(郞聽採菱女 낭청채릉녀)

 

돌아가며 부르는 노랫 소리를!

(一道夜歌歸 일도야가귀)

 

                -- 이백(李白) --

         

                  <가을의 연정(戀情)>

이 시는 오언절구(五言絶句)다.

여름은 가고 어느새 하늘이 높고 바람도

서늘한 가을이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인간이 사는 곳이라면  Romance는 있게

마련이다.

'삼수갑산(三水甲山) 나 왜 왔노'라고

노래한 '소월(素月)'과도 같은 처지에

'이백'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청춘의

아름다운 정경(情景)을 안 보고 넘길

사람은 아니다.

'이백'은 딱딱한 도덕보다 본능과 정열의

편에 서 있는 사람이었다.

달밤 떼지어 멀어져 가며 부르는

아가씨들의 노래에 가만히 귀 기울이고

있는 사나이, 그것은 인생의 본원(本原)에

동경(憧憬)을 보내는 모습이 아니겠는가!

시인은 타인의 정열에 따뜻한 공감을

갖는다.

*마름:  호수, 연못에 사는 한 해살이 수생

식물, '마름'이란 이름은 열매 모양이 마름모 

공간에서 유래. 열매는 '물밤'으로도 불리며

식용, 약용.

 

이백(李白)(701~762) : 당나라 시인, 아호는

청련거사, 자는 태백(太白).

사람들은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그가 술을 좋아했기에 주선(酒仙)이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의 시문학과 관련된 주제(主題)는 도교

(道敎), 술 등이 유명하다.

1,100여 수의 많은 시가 남아 있다.

     

                종우 이한기(미주한국문협 회원)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10월 13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 외명부(外命婦) 이한기 2023.12.06 71
154 욕지, 감꽃 목걸이/김연동 이한기 2024.05.13 14
153 우루과이의 한 교회당 벽에 적혀 있는 글 관리자 2024.03.03 4
152 우생마사 (牛 生 馬 死) 관리자 2024.05.01 0
151 우연(偶然)의 일치(一致)? 이한기 2023.10.24 40
150 우주(宇宙)(Universe) 이한기 2023.11.18 50
149 웃음의 힘 관리자 2024.05.28 4
148 웰빙 - 한 백양- : 신춘문예 - 시 [2024 신년기획] 관리자 2024.01.02 1
147 위안과 치유로서의 문학3 강화식 2022.08.05 45
146 유당 선배님 이야기가 로뎀 소개와 함께 있네요2 keyjohn 2017.03.15 138
145 유성호 교수님 PPT 21 강화식 2022.08.04 59
144 유성호 평론가(한양대 교수) PPT2 강화식 2022.08.04 50
143 음주(飮酒) 이한기 2024.01.18 30
142 이 나라가 한국 라면에 푹 빠졌다고?…수출국 3위로 떠올라 관리자 2024.01.18 4
141 이- 멜 주소 변경 왕자 2015.08.20 4124
140 이李종길 형兄을 추모追慕 이한기 2024.02.13 38
139 이둠을 지나 미래로 - 침묵을 깨고 역사 앞에 서다 - 관리자 2024.02.09 1
138 이런 사람 저런 사람 - 이해인- 관리자 2024.01.17 3
137 이른 봄의 시/천양희 이한기 2024.02.20 17
136 이승만 건국대통령 기념 사업회 애틀랜타 지회 - 건국 전쟁 영화 감상문 알림 관리자 2024.04.01 4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