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우짜든동

이한기2023.10.13 20:14조회 수 75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우짜든동

                                       淸風軒      

밥은 문나?

우짜든동, 지 때 챙겨무래이!

네, 어무이!

 

아푼데는  없나?

우짜든동, 고뿔 안들게 하거래이!

네, 어무이!

 

방은 따시나?

우짜든동, 따시게 지내거래이!

네, 어무이!

 

네, 어무이도

우짜든동, 단도리 단디이 하이소!

 

한 마다 말로

사랑을 담아낼 말

우짜든동!

 

어머니와 아들 사이

진한 사랑이 녹아든 말

우짜든동!

더 이상은 없지롱!

 

<글쓴이 Note>

*우짜든동 : 어쨌던지.

*밥은 문나? : 밥은 먹었나?

*지 때 : 제 때.

*따시나 : 따뜻하나.

*단디이 : 단단히, 야무지게.

 새재(鳥嶺) 이남 지방의 사투리.

    

*경북 문경 새재(鳥嶺) 이남 지방을 

 영남(嶺南), 전북 김제의 벽골제

 (碧骨堤) 이남 지방을 호남(湖南),

 충북 제천의 의림지(義林池) 서쪽

 지방을 호서(湖西), 강원도 평창과

 강릉을 잇는 대관령(大關嶺) 동쪽

 강원도지방을 영동(嶺東) 및 관동

(關東)지방, 대관령 서쪽 강원도

지방을 영서(嶺西)지방이라고 함은

모두가 아는 바이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75 돈가(豚家)네 2023.11.27 131
274 상춘곡常春曲 2024.03.10 116
273 패자와 승자 2024.05.29 34
272 사유(思惟) 2023.09.27 52
271 무궁동(無窮動) 2023.09.21 113
270 사칙연산(四則演算) 2023.10.15 61
269 영웅英雄 2024.04.18 125
268 관조(觀照)의 세계로 2023.09.27 51
267 먹이 일별(一瞥) 2023.10.23 70
266 우주(宇宙) 2024.01.29 111
265 영화 '건국전쟁' 2024.04.01 108
264 연리목(連理木) 사랑의 숲 2023.09.27 57
263 빈 틈 2024.04.09 113
262 눈속의 풋보리 2023.09.21 106
261 Monument Valley 2023.10.15 76
260 수저(匙箸) 타령 2023.11.07 98
259 삼각형(三角形) 2023.11.23 152
258 숨어버린 젊음 2023.09.21 105
257 상춘곡上春曲 2024.02.03 120
256 더위를 잊는다 2023.09.21 94
이전 1 ... 2 3 4 5 6 7 8 9 10...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