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병서(兵書) 삼략(三略)

이한기2023.10.16 14:57조회 수 56댓글 0

    • 글자 크기

      병서(兵書) 삼략(三略)

                                淸風軒

 

저자는 강태공(姜太公)/

태공망(太公望) 강상(姜尙)/

여상(呂尙)이라는 설(說)과 

진시황 때 장량(張良)이

황석공(黃石公)으로부터

전수(傳受)받았다는

설(說)이 있다.

상략(上略), 중략(中略),

하략(下略)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략(略)'은 기략(機略) 즉

임기응변(臨機應變)의

계략(計略)을 뜻한다.

 

*상략(上略) : 군주된 자로서

간사(姦邪)한 자들을

물리치고 밝은 행정을

베풀며 덕화(德化)를 

오대양에 펼치고 공적을 길이

빛나게 하는 방법을

논(論)하고 있다.

 

*중략(中略) : 국가를 온전히

보전(保全)하며 영웅들의

마음을 널리 모아들이는

것이 주요 논지(論旨)다.

 

*하략(下略) : 하나를 버려

백(百)을 이롭게 하면

사람들이 그 은혜를

생각하게되고 하나를 버려

만(萬)을 이롭게 하면

정사(政事)가 어지러워지는

일이 없다.

 

'삼략'은 밝은 행정과 인재

등용의 중요성과 통합의

정치를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삼략'이 주는 교훈을

따른다면 다시는 경술국치

(庚戌國恥)와 같은

수치(羞恥)와 그리고

6.25사변과 같은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참극(慘劇)을 다시 겪는

일은 없을 것이다.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1년 6월 24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77 방점(傍點) 2023.11.13 105
176 숨어버린 젊음 2023.09.21 105
175 비익조(比翼鳥) 2024.05.21 104
174 사소些少한 것에 - 단상斷想 - 2024.04.12 104
173 나의 나래 2024.04.11 104
172 살인한파(殺人寒波) 2024.01.16 104
171 땅거미가 내릴 때 2023.11.05 104
170 오늘은 2024.02.13 103
169 아치설/아찬설 2024.02.05 103
168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2023.10.09 103
167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경의검(敬義劍) 2023.09.30 103
166 한가위 은쟁반 2023.10.01 102
165 Valentine's Day 유감遺憾 - 단상斷想 - 2024.02.15 100
164 Atlanta에 서설(瑞雪)이 내리는데 2023.09.30 100
163 무명용사(無名勇士) 영령(英靈) 2023.11.11 99
162 하늘마저 슬피 우네 2024.05.27 98
161 수저(匙箸) 타령 2023.11.07 98
160 낮은 포복(匍匐)해 보는 게 2023.11.05 97
159 어색(語塞)해 - 단상(斷想) 2023.11.06 95
158 돌아가는 길이 지름길 2023.10.31 94
이전 1 ... 4 5 6 7 8 9 10 11 12 13...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