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오난(五難)과 현자(賢者)

이한기2023.10.21 22:30조회 수 59댓글 0

    • 글자 크기

    오난(五難)과 현자(賢者)

                                    淸風軒

 

어느 조직, 단체, 국가든지

오난(五難), 즉 다섯가지

난감(難堪)한 것이 있는

경우가 있다.

 

첫째, 총애(寵愛)하는 사람만

있고 뛰어난 사람이 없는 것

(有寵無人 유총무인).

 

둘째, 뛰어난 사람은 있지만

안에서 가까운 사람이 없는 것

(有人無主 유인무주).

 

셋째, 안에서 가까운 사람은

있지만 모책(謀策)을 내는

사람이 없는 것

(有主無謀 유주무모)

 

넷째, 모책(謀策)을 내는

사람은 있지만 따르는 백성이

없는 것.

(有謀無民 유모무민)

 

다섯째, 따르는 백성은 있지만

덕(德)이 없는 것

(有民無德 유민무덕).

 

좋은 사람을 발굴(發掘)하여

쓰고 깊이 고민(苦悶)하며 

백성들의 살림을 살뜰이

챙기고 늘 겸손(謙遜)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 단체, 조직,

국가가 흥(興)한다.

 

이러한 다섯가지 조짐을

잘 알고 대처하는 사람을

현자(賢者)라고 한다.

조직과 단체 및 국가의

지도자(指導者)가

현자라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있겠는가!

현자(賢者)를 지도자(指導者)로

가진 구성원(構成員)들은

진정으로 복(福)이 많은

사람들이다.

 

현자(賢者)와 일맥상통

(一脈相通)하는 말로서

선자(善者)를 꼽는다면 이와 

관련된 금언(金言)을 하나

들어본다.

來者不善(내자불선) 善者不來

(선자불래)!

"온 자는 선(善)하지 않고

선(善)한 자는 오지 않네!'

어쩌면 현자(賢者)도

선자(善者)처럼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오매불망

(寤寐不忘), 현자(賢者)가

오길 학수고대(鶴首苦待)한다.

현자(賢者)여!

우리에게 속(速)히 오소서!

 

<글쓴이 Note>

*오난(五難) : 다섯가지

  난감(難堪)한 것.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초세가(楚世家)에 나오는 말.

 

*옛 사람들은 악(惡)이란 말을

  잘 쓰지 않았다. 선(善)의 반대

  개념을 악(惡) 대신 불선

  (不善)이라 하였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95 상춘곡賞春曲 2024.04.06 108
194 임을 사랑하시나요? 2024.02.07 108
193 개머리 추억(追憶) - 단상(斷想) - 2024.01.04 108
192 정의(定義)의 배리(背理) 2024.05.16 107
191 개나리꽃 사랑 2024.03.08 107
190 주현절(主顯節) 2024.01.06 107
189 오직 그분만이 아신다 2024.05.17 106
188 만우절萬愚節 2024.04.01 106
187 삼인삼색(三人三色) 2024.02.15 106
186 상족암(床足巖)의 발자국 2023.11.03 106
185 눈속의 풋보리 2023.09.21 106
184 혜풍惠風 2024.04.07 105
183 주시注視와 눈치 - 단상斷想 - 2024.02.06 105
182 시詩를 짖지 않으면 2024.02.01 105
181 찌꺼기 유감(遺憾) 2024.01.15 105
180 방점(傍點) 2023.11.13 105
179 숨어버린 젊음 2023.09.21 105
178 오랑캐꽃 2024.04.10 104
177 살인한파(殺人寒波) 2024.01.16 104
176 땅거미가 내릴 때 2023.11.05 104
이전 1 ... 3 4 5 6 7 8 9 10 11 12...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