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풀꽃' 시감상(詩鑑賞)

이한기2023.11.07 10:24조회 수 307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풀꽃' 시감상(詩鑑賞)

                                   淸風軒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 나태주 시인(詩人) -

 

느낀 것 감(敢)히 몇 마디 한다면

"참으로 놀랍고 부럽기만 하다

짧은 세 문장, 여덟 단어로

기(起), 승(承), 전(轉), 결(結)"

 

"꿀 맛, 단팥빵 맛, 아이스크림 맛

혀에 감기 듯, 달콤한 맛이다

나같은 초보에겐 별나라 이야기"

 

"감히 아쉬운 게 있다고 말한다면

너가 뭔 데라고 말들이 많겠지

아무렴 마땅히 그렇게 말하겠지"

 

"내가 느껴보지 못한 맛이라면

된장 맛, 인절미 맛, 수정과 맛

나 홀로 그러면 다행(多幸)이다"

 

평생 시를 쓴 노시인(老詩人)은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풀꽃시인

시 쓰는 흉내를 낸지 삼 년된 나

어찌 감히 범접(犯接)을 하리오

 

어디까지나 나는 나, 그는 그다

그는 참 대단한 풀꽃시인이다

분명한 것은 나는 그가 아니다

대단한 풀꽃시인도 그러하다

 

나와 대단한 풀꽃시인 둘 사이에

같은 것이 있느냐고 묻는다면

주선(酒仙) 이태백(李太白)처럼

시선(詩仙)이 아니라는 것이요,

노벨문학상을 받은 적이 없다오

 

Louise Elizabeth Gluck 시인이

'눈풀꽃(Snowdrops)' 시로

영광의 노벨문학상을 받았으니

우리의 풀꽃시인도 '풀꽃' 시로

문학인의 꿈인 노벨문학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워 지기를!

 

<글쓴이 Note>

*Snowdrops(눈풀꽃)

  2020년 Nobel 문학상 수상작품.

 '절망적인 상황에서 희망을 노래'

          (자유게시판 # 117)

•Snowdrops를 류시화(1958 ~ )

   (본명 안재찬)(시인/번역가)는

   설강화(雪降花) 대신 '눈풀꽃'

   이라 번역(飜譯)하였다.

•Snowdrop[식물(植物)]

 1.설강화(雪降花)

 2.Galanthus nivalis

 3.[미군속어(美軍俗語)]

   헌병(憲兵, Military Police)

   

 

 

 

    • 글자 크기
직업/직분의 '사' (III) 목련木蓮 꽃잎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37 능소화(凌霄花) 2023.10.09 90
336 오늘은 2024.02.13 103
335 올챙이국수 2024.01.11 187
334 벗 - 단상斷想 - 2024.02.16 115
333 입춘立春 - 기고문寄稿文 - 2024.02.02 111
332 추억追憶 따라온 새봄 2024.02.20 118
331 먹이사슬 2023.11.10 429
330 주(主) 승천(昇天) 대축일(大祝日) 2023.10.10 57
329 겨울의 전령사(傳令使) 2023.11.03 153
328 영(迎), 2024년! 2024.01.01 123
327 주시注視와 눈치 - 단상斷想 - 2024.02.06 105
326 시인(詩人)은 시(詩)와 함께 2023.11.14 123
325 직업/직분의 '사' (III) 2023.10.15 59
'풀꽃' 시감상(詩鑑賞) 2023.11.07 307
323 목련木蓮 꽃잎 2024.04.08 110
322 불두화佛頭花를 위로慰勞 2024.04.26 128
321 늙은 보리밭 2024.05.31 70
320 겨울 - 단상斷想 - 2024.01.28 114
319 꽃향(花香) 품은 봄처녀 2024.02.16 122
318 후회(後悔)(2) 2023.11.17 139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