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가을 무덤 祭亡妹歌(제망매가) - 기 형도-

관리자2024.01.02 18:08조회 수 708댓글 0

    • 글자 크기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80325/89284648/1

 

“기형도 시의 원점은 1975년 5월 16일 누이의 죽음에서 찾아야”

위의 내용의 원문을 읽으시려면 위의 링크를 클릭하신 후

읽으시면 됩니다

 

 

 

 

 

 

 

가을 무덤 

祭亡妹歌(제망매가)

 

- 기형도

 

 

누이야네 파리한 얼굴에

철철 술을 부어주랴

시리도록 허연이 零下(영하)의 가을에

망초꽃 이불 곱게 덮고웬 잠이 그리도 길더냐.

풀씨마저 피해 날으는푸석이는 이 자리에

빛 바랜 단발머리로 누워 있느냐.

헝클어진 가슴 몇 조각을 꺼내어

껄끄러운 네 뼈다귀와 악수를 하면

딱딱 부딪는 이빨 새로

어머님이 물려주신 푸른 피가 배어나온다.

물구덩이 요란한 빗줄기 속구정물

개울을 뛰어 건널 때

왜라서 그리도 숟가락 움켜쥐고

눈물보다 찝찔한 설움을 빨았더냐.

아침은 항상 우리 뒷켠에서 솟아났고

맨발로도 아프지 않던 산길에는

버려진 개암, 도토리, 반쯤 씹힌 칡.

질척이는 뜨물 속의 밥덩이처럼

부딪히며 河口(하구)로 떠내려갔음에랴.

우리는神經(신경)을 앓는 中風病者(중풍병자)로 태어나

全身(전신)에 땀방울을 비늘로 달고

쉰 목소리로 어둠과 싸웠음에랴.

편안히 누운내 누이야.

네 파리한 얼굴에 술을 부으면

눈물처럼 튀어오르는 술방울이

이 못난 영혼을 휘감고

온몸을 뒤흔드는 것이 어인 까닭이냐

 

 

 

2024년 1월 2일   화요일

 

 

 

 

 

 
    • 글자 크기
쉽게 쓰여진 시 - 윤동주- (by 관리자)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 형도- (by 관리자)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 문인과의 차 한 잔 ⑤ ‘불가능’의 詩學을 탐구하는 시인 이성복 관리자 2024.01.02 711
152 새들은 이곳에 집을 짓지 않는다 - 이성복- 관리자 2024.01.02 701
151 남해금산 - 이 성복- 관리자 2024.01.02 673
150 웰빙 - 한 백양- : 신춘문예 - 시 [2024 신년기획] 관리자 2024.01.02 785
149 삼순이 - 정찬일- 관리자 2024.01.02 791
148 쉽게 쓰여진 시 - 윤동주- 관리자 2024.01.02 772
가을 무덤 祭亡妹歌(제망매가)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708
146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846
145 입속의 검은 잎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767
144 엄마 걱정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775
143 질투는 나의 힘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782
142 대학 시절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805
141 빈 집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814
140 Happy Runner's Marathon Club 회원님들 관리자 2024.01.02 776
139 [디카시]나목 - 정성태 관리자 2024.01.01 847
138 [나의 현대사 보물] 김병익 평론가-‘우리 사회는 앞으로 어느 쪽을 지향해야 할 것인가’ 시대적 고민이 '문학과 지성' 으로 이어져 관리자 2024.01.01 821
137 그 사이에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795
136 시간의 그늘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761
135 풀 - 김 수영 관리자 2024.01.01 802
134 산정묘지山頂墓地 1- 조정권 관리자 2024.01.01 828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