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아미산 월가月歌/이백

이한기2024.03.11 12:08조회 수 117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아미산峨眉山

월가月歌

 

이백李白   

                                                                       

 아미산의 달 가을 하늘에

만 보이는데

 峨眉山月半輪秋

(아미산월반륜추)

 

그림자 평강강에 들어가

강물과 함께 흐르네

影入平羌江水流

(영입평강강수류)

                       

밤에 청계를 출발하여

삼협으로 향하니

夜發清溪向三峽

(야발청계향삼협)

                         

그대 그리워하면서도

보지 못한 채

 유주로 내려가네.

 思君不見下渝州

(사군불견하유주)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이 시詩는 이백이 

사면赦免을 받아

야랑夜에서 돌아가는

도중途中에 지은 것으로

짐작이 간다.

시詩 중에 아미산峨眉山의

아미峨眉는 아미蛾眉와

음音이 같으므로

 아미蛾眉의 미인美人을

임금에 비유比喩하여

읊은 것이 아닌가 한다.

‘사군불견思君不見’이란

구句에 그러한 내용이 

      함축含蓄 되어 있다.      

역시 시선詩仙의 시詩는

쉽고 이해하기가

편한 느낌이다.

물이 흐르듯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그러면서도 시인이

노래하는 그 의미를 

창작적創作的으로

표현해 준다.

 

*아峨 : 산山 높을 아

峨眉山아미산

*미眉 : 눈썹 미 

間미간

*아蛾 : 누에나방 아,

나방 아 蛾眉

*아미蛾眉 : 누에나방의

눈썹(촉각觸覺)처럼

아름다운 '미인美人의

눈썹'을 이르는 말

 

- 淸風軒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15 응어리 진 상처(傷處) 2023.10.13 70
214 먹이 일별(一瞥) 2023.10.23 70
213 문(門)과 문(門) 사이 2023.09.29 71
212 세상, 다 그런거지! 2023.10.12 71
211 허수아비 2023.10.14 71
210 머릿속의 사진(寫眞) 한 장 2023.10.24 71
209 참으로 날로 새롭게 2023.09.23 72
208 겨울 망향(望鄕) 2023.09.23 72
207 아직은 때가 아냐! 2023.10.05 72
206 송(送), 2022년! 2023.09.23 74
205 배롱나무 (I) 2023.09.22 75
204 보릿고개의 묵정밭(菑) 2023.09.29 75
203 가장 부러운 사람 2023.10.10 75
202 우짜든동 2023.10.13 75
201 신기루(蜃氣樓) 2023.10.14 75
200 산(山)풀꽃 2023.09.29 76
199 옆지기 2023.10.08 76
198 Monument Valley 2023.10.15 76
197 이제, 숨어야 해! 2023.10.13 77
196 명칭(名稱) 타령 2023.10.05 77
이전 1 ... 2 3 4 5 6 7 8 9 10 11... 1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