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생人生의 Rival

이한기2024.04.16 10:21조회 수 25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Ulysses S. Grant (1822~1885)

 

 

 

img.png

         Robert E. Lee (1807~1870)

 

 

 

인생人生의 Rival

 

 

한 남자(Grant)는

가죽을 만드는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USMA를 꼴찌로 졸업 후

좌절하고 방황하는

아들을 보고 결국  

아버지도 아들을

포기하였다.

군에서 일찍 퇴역한

Ulysses S. Grant는

결국 아버지의

가죽 공방에 들어와

일했다.

그후 군에 복귀하였다.

 

또 한 남자(Lee)는

부유하고 덕망있는

엄친아로 태어나

USMA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꼴찌로 졸업한

Ulysses S. Grant는

남북전쟁 당시

북군총사령관,

엄친아 Robert E. Lee는

남부연합군사령관이

되었다.

북군에 포위된  

Lee 장군이 항복문서에

서명함으로서

Grant 장군이 이끈

북군의 승리로

남북전쟁이 끝났다.

 

인생의 승리는 끝까지

 가보아야 아는 것이다.

흙수저라고 해서 좌절할

 이유가 될 수 없다.   

 

*USMA*

US Military Academy 

at Westpoint, NY.

 

*Ulysses S. Grant*

  (1822 ~ 1885)

 

미국이 독립한 이래 

미국군 최초의 원수元帥,

  미국의 제18대 대통령을

8년간 역임하였다.

(1869~1877)

 

Robert E. Lee장군

  (1807 ~ 1870)의 

항복문서 서명식에서

USMA 대선배인

패장敗將, Lee 장군에게

  승자勝者, Grant 장군은 

 정중鄭重한 예의禮儀

갖추었다. 

 

사후死後, 137년이 지난,

 2022년, 대원수大元帥

         추서追敍되었다.       

    $50 지폐 속의 인물. 

 

*미국의 대원수大元帥*

George Washington

초대 대통령

 

Ulysses S. Grant

제18대 대통령

 

John Joseph Pershing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최초 해외 파병

원정군총사령관

 

*원수元帥*

☆         ☆

☆      ☆

General of the Army

 

*대원수大元帥*

☆            ☆

☆           ☆

General of the Armies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 낙화落花 / 조지훈 이한기 2024.04.08 3
374 [마음이 머무는 詩] 우리의 봄은-윤석산 관리자 2024.04.08 3
373 아무 꽃 - 박 재하- 관리자 2024.04.08 3
372 Happy Runner's Marathon Club on 040724 관리자 2024.04.08 3
371 그대들이시여! (조선왕조실록 독후감) -아해 김태형- 관리자 2024.04.08 3
370 [태평로] 김혜순 시인이 세계에 쏘아 올린 한국詩 관리자 2024.04.10 3
369 회원 여러분 가능하시면 웹싸이트에 마련된 각자의 글방에 자작글을 올리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관리자 2024.04.14 3
368 Mercedes-Benz Stadium 축구장에 다녀왔습니다 관리자 2024.04.14 3
367 친구야 너는 아니?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6 3
366 김지수 "멋진 질문을 필요없다" 관리자 2024.05.07 3
365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3 관리자 2024.05.13 3
364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3
363 이승하 시인의 ‘내가 읽은 이 시를’(333) 어느 어머니의 이야기―김일태의 「만다꼬」 관리자 2023.12.02 4
362 ‘아낌없이 주는 나무’ 뒤에 숨은 기가 막히고 속이 뚫리는 156편의 시+그림 관리자 2023.12.02 4
361 높새가 불면 - 이 한직 - 관리자 2023.12.17 4
360 그 사이에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4
359 [나의 현대사 보물] 김병익 평론가-‘우리 사회는 앞으로 어느 쪽을 지향해야 할 것인가’ 시대적 고민이 '문학과 지성' 으로 이어져 관리자 2024.01.01 4
358 엄마 걱정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4
357 삼순이 - 정찬일- 관리자 2024.01.02 4
356 배웅 - 노노족 김상호- 관리자 2024.01.08 4
이전 1 ... 4 5 6 7 8 9 10 11 12 13... 27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