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하버드 대학 (Harvard University

관리자2024.05.17 09:54조회 수 0댓글 0

    • 글자 크기

 

 

 

 

하바드대학 이야기

1636년에 세워진 하버드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 되고 가장 돈이 많은 대학이다.
각종 대학 랭킹에서 하버드는 ‘미국 1등’ ‘세계 1등’ 으로 평가되는데, 

시간과 돈과 학문이 결합된 결과일 것이다.
  
이 기금은 세계1등인데 2016년6월말 360억 달러로 웬만한 나라의 외화 보유고 수준이다.  
이 기금을 관리하는 회사가 하버드 메니즈먼트 캄퍼니이다.  
한때 이 회사의 임원 6명이 받은 봉급은 2680만 달러, 

국제 투자를 담당하는 전무는 연봉 640만 달러였다.  

대학 연간 예산은 약 40억 달러, 약 5조원 이다
(서울대는 약 7000억 원).
  
하버드라는 이름은 400여권의 책과 779 파운드를 기부한 목사 존 하버드에서 딴 것이다. 
 
하버드 대학은 목사들을 양성하는  신학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초창기엔 청교도 정신을  건학 이념으로 삼았다.  
영국의 캠브리지 대학을 모범으로 삼아 대학을 운영하였는데, 

하버드가 있는 시 이름도 캠브리지 라고 붙였다. 
일부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영국의 캠브리지가 1등, 

하버드가 2등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미국에서 캠퍼스가 아름다운 대학 50개를 뽑은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하버드는 11등이었다.  
에머리, 다트머스, 노틀담, 인디아나, 시카고, 해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프린스턴, 듀크, 예일, 코넬, 스탠포드 등이 꼽혔다.
  
오바마를 포함, 8명의 미국 대통령이 하버드 출신이고, 

75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이 대학에서 학생이나 교수로 근무한 적이 있다.  

10억 달러 이상의 재산을 가진 62명이 하버드 출신인데

 이 분야에서도 세계 제 1이다. 

교수가 2100명, 학부 학생이 6700명, 

대학원생이 1 만 4500명 정도이다.  

약 1800만 권을 소장한 80개의 도서관이 있는데,

 와이드너 도서관이 가장 크다.  

100년 전 침몰한 타이타닉호 에서 죽은 

와이드너라는 졸업생의 어머니가 기부한 350만 달러로 지은 도서관이다 
(장서량은 미국의회 도서관에 이어 2위).
  
역대 총장은 27명, 평균 재임 기간은 14년이다. 
2007년부터 최초의 여성 총장인 

드루 질핀 파우스트(28대 총장)이다.  

하버드 학생들 중 백인은 42%(국민 평균은 66%)이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출신이 17%(국민 평균은 4.3%)이다. 

기숙사 비를 포함한 연간 등록금은 약 5 만 달러이다.
  
와이드너 도서관 맞은편엔 

추모 교회(The Memorial Church)가 있다. 
1932년에 지어진 건물인데,

교회 겸 전사자  추모 시설이다.  

제 1차 세계 대전, 2차 대전, 한국 전, 월남 전에 참전하여 전사한

 하버드 졸업생들의 이름이 벽에 새겨져 있다.  
동판에 새겨진, 한국에서 전사한 하버드 졸업생은 17명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학사,

 하버드에서 석사, 프린스턴에서 한국인으로선 최초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재필의 의학 박사 제외하고)이 박사가 하숙했던 집을 한국 교포가 구입하였다.  
30대 초반이던 미래의 건국 대통령은  

그때 이미 시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을 면담하고, 

뒤에 미국 대통령이 되어 민족 자결주의를 선포하는 

프린스턴의 우드로우 윌슨 총장의 총애를 받았다. 

이 박사의 화려한 학력과 경력이 자존심을 키우고,  
나라를 세우고 지켜내는 한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미국이 절대로 중국에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이유는 대학이다.  
대학은 엘리트의 산실이고 창조력의 요람 이며 엄청난 생산력의 원천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이 평준화를 명분으로 인재의 산실인 

명문 고등학교를 없애버린 것은 큰 실수가 아닐까요?

 

 

2024년 5월 17일 금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5 수도거성(水到渠成) 이한기 2024.06.01 6
534 하나에서 열까지 이한기 2024.06.01 6
533 제26회 재외동포 문학상 공모 … 오는 6월 30일까지 관리자 2024.05.30 1
532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5.30 114
531 나그네 관리자 2024.05.30 0
530 트바로티 김호중이 수감된 구치소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는 일 관리자 2024.05.30 0
529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 2024.05.30 0
528 절영지회(絶纓之會) 이한기 2024.05.30 7
527 도척지견(盜拓之犬) 이한기 2024.05.30 6
526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3
525 소풍같은 인생 - 추가열- 관리자 2024.05.30 1
524 기다려주는 사람 이한기 2024.05.29 8
523 하이쿠(俳句, 배구) 감상 이한기 2024.05.29 9
522 웃음의 힘 관리자 2024.05.28 4
521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 2024.05.28 9
520 여섯 가지 도둑 이한기 2024.05.28 10
519 태권도 & K-Pop Festival 7년만에 재개 관리자 2024.05.28 0
518 Have a Safe Memorial Day! 관리자 2024.05.28 0
517 2024년 5월 27일 메모리알 데이 - Happy Runners Marathon Club 관리자 2024.05.27 1
516 성공의 비결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관리자 2024.05.27 0
이전 1 2 3 4 5 6 7 8 9 10... 27다음
첨부 (0)